티스토리 뷰

목차


    목차

       

      증여세 신고방법 절차와 절세 꿀팁
      증여세 신고방법 절차와 절세 꿀팁

      부모님이 집을 증여해 주신다고 하는데 세금은 얼마나 나올까?

       

      증여세는 부모·자녀, 부부, 형제·자매 등 가족 간 재산을 주고받을 때 부과되는 세금입니다.
      얼마까지 비과세인지 언제 신고해야 하는지 신고하지 않으면 어떻게 되는지 잘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.

      증여세 제대로 알고 신고하면 세금을 줄일 수 있습니다.

      증여세 신고 바로가기

      세금 신고 제대로 하면 아낄 수 있습니다. 2025년 증여세 신고 미리 대비하세요.


      증여세란? 기본 개념 정리

      증여세 왜 내야 할까?

      증여란 대가 없이 타인에게 재산을 무상으로 주는 행위를 말합니다.

      • 부모가 자녀에게 현금, 주식, 부동산 등을 증여
      • 부부 간 재산을 이전
      • 친척, 친구 간 재산을 무상으로 주는 경우도 해당

      상속세와 뭐가 다를까?

      • 상속세 : 사람이 사망했을 때 재산을 물려받을 때 부과
      • 증여세 : 살아있는 동안 재산을 물려줄 때 부과

      부모가 사망하면 상속세이고 살아계실 때 주면 증여세입니다.


      증여세 신고 대상

      증여세 면제 한도 (비과세 한도)

      국세청에서는 가족 간 증여에 대해 일정 금액까지 비과세 혜택을 주고 있습니다.

      • 부모 → 자녀 : 10년간 5천만 원까지 증여세 없습니다.
      • 부부 간 : 10년간 6억 원까지 증여세 없습니다.
      • 조부모 → 손주 : 10년간 5천만 원까지 증여세 없습니다.
      • 형제·자매, 친구 등 제3자 : 10년간 1천만 원까지 비과세

      증여세 면제 한도를 초과하면 초과 금액에 대해서만 세금이 부과됩니다.

      증여세 신고 의무자

      • 재산을 받은 사람이 신고해야 합니다.
      • 미성년자가 증여받은 경우 법정대리인(부모)이 신고 가능합니다.

      재산을 준 사람이 아니라 받은 사람이 신고하는 것!

      생각보다 비과세 한도가 높으니 미리 계획하면 증여세 부담 없이 재산을 이전할 수 있습니다.


      증여세 신고방법 절차 한눈에 보기

      신고만 잘해도 가산세 폭탄 피할 수 있습니다.

      증여세 신고 기한

      • 증여받은 날이 속한 달의 말일부터 3개월 이내
      • 2025년 3월 10일에 증여받았다면 2025년 6월 30일까지 신고

      기한 내 신고하지 않으면 최대 40%의 가산세가 붙을 수 있습니다.

      증여세 신고 방법

      온라인 신고

      1. 국세청 홈택스(www.hometax.go.kr) 접속
      2. 로그인 후 → [신고/납부] → [세금신고] → [증여세 신고]
      3. 증여자·수증자 정보 입력
      4. 증여재산 가액 및 공제 항목 입력
      5. 신고서 제출 후 세금 납부

      홈택스 이용하면 집에서도 간편하게 신고 가능합니다.

      방문 신고 (세무서 방문 접수 가능)

      1. 관할 세무서 방문
      2. 증여세 신고서 작성 후 제출
      3. 세금 계산 후 납부

      디지털 기기 사용이 어려운 분들은 세무서 방문을 추천합니다.

      필요한 서류

      • 증여세 신고서
      • 증여재산 평가 명세서
      • 가족관계증명서 (가족 간 증여 시)
      • 부동산 증여 시 : 등기부등본, 매매사례가액 확인서
      • 주식 증여 시 : 증여일 기준 주식평가서

      증여 유형에 따라 필요한 서류가 다르니 미리 준비하세요.


      증여세 계산 방법 얼마나 낼까?

      증여세율은 구간별 차등 적용합니다.

      증여 재산 가액 세율 누진공제액
      1억 원 이하 10% 없음
      1억~5억 원 20% 1천만 원
      5억~10억 원 30% 6천만 원
      10억~30억 원 40% 1억6천만 원
      30억 원 초과 50% 4억6천만 원

       

      부모가 자녀에게 1억 5천만 원 증여한 경우

      1. 증여세 과세 대상 = 1억 5천만 원 - 5천만 원(비과세) = 1억 원
      2. 세율 10% 적용 : 1억 원 × 10% = 1천만 원
        - 납부할 증여세 = 1천만 원

      비과세 한도를 활용하면 세금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.


      증여세 절세 방법

      • 10년 단위로 쪼개서 증여하기
      • 가족 간 증여 시 면제 한도를 활용하기
      • 배우자 증여 활용 (6억 원까지 비과세)
      • 증여 후 5년간 자금 출처 조사 대비하기

      미리 계획하고 증여하면 불필요한 세금 부담 없이 재산을 이전할 수 있습니다.


      증여세 신고 미루지 말고 제때 하자!

      증여세 신고 까다롭지 않아요

      • 증여세 신고 기한 : 증여받은 날의 다음 달 말일부터 3개월 이내
      • 부모 → 자녀는 10년간 5천만 원까지 비과세
      • 홈택스 온라인 신고 또는 세무서 방문 신고 가능
      • 증여세율은 10%~50% (과세표준에 따라 차등 적용)
      • 세금 줄이려면 미리 계획하고 쪼개서 증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